![[CS 발표] 데이터베이스 트리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cs8SE%2FbtsGhGAIle3%2Fp6xTzAi1MTUqCN2g1f4kM0%2Fimg.png)
1. 개요 데이터베이스 트리거란 테이블에 대한 이벤트에 반응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의미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특정 테이블에 삽입(INSERT), 수정(UPDATE), 삭제(DELETE) 등과 같은 DML(데이터 조작어, Data Manipulation Language) 문이 수행되었을 때 DBMS에서 묵시적으로 자동으로 수행되는 저장 프로시저라고 할 수 있다. Java와 같은 객체 지향 언어에서 객체가 생성되거나 소멸될 때 자동으로 호출하는 생성자나 소멸자와 같은 묵시적 수행 함수를 떠올린다면 이해가 수월할지도 모르겠다. 트리거(Trigger)는 방아쇠라는 뜻으로 방아쇠를 당기면 총기 내부에서 알아서 일련의 작업들을 실행하고 총알이 발사된다. 마찬가지로 일련의 쿼리들을 하나의 함수처럼..
![[CS 발표] 메모리 Memory](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8jCV%2FbtsGcKuJRNl%2Fs0YTdarB8KIW2SnG369Qd0%2Fimg.png)
1. 개요 컴퓨터 분야에서 메모리를 논하면 대부분 RAM을 의미한다. RAM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내용을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는 기억장치로 컴퓨터가 켜지는 순간부터 CPU는 연산을 하고 동작에 필요한 모든 내용이 전원이 유지되는 내내 이 기억장치에 저장된다 RAM은 Random Access Memory, 임의로 접근할 수 있는 메모리라는 뜻으로 해당 의미로는 HDD 등의 기타 장치와 구분하기 힘들 수 있으나, Random Access라는 용어가 어느 위치에 접근하든 똑같은 속도로 접근하여 읽고 쓸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므로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에 따라 읽고 쓰는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HDD와 같은 기억장치들과는 구분된다. 또다른 특징으로는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데이터가 유지되며 전원이 꺼지면..
0. Intro 컴퓨터에서 굉장히 많이 쓰이는 자료구조이며 대부분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는 배열이나 리스트와 같은 자료구조를 제외하면 자료구조에서 가장 먼저 소개되곤 하는 자료구조인 스택은 스택이라는 말은 평소 일상 생활에서도 가끔 사용하는데 내 또래 같은 경우에는 League of Legend라는 게임의 나서스 캐라는 캐릭터가 모티브가 되어, 차근차근 쌓아나간다. 아니면 참고 버틴다. 등의 의미로 사용되곤한다. 예를 들면 분노 1스택 적립, 이라던가 업보 1스택 적립 등등 ㅋㅋ 사전적 정의 또한 마찬가지 스택은 쌓다 나서스 스택 분노 1스택 적립 사전적 정의 실제 활용 사례 ( 실행취소, 웹 뒤로가기 1. MyStack 직접 구현 import java.util.Scanner; publ..
1. Used Skin Berry Skin v4 2. HTML Modify Log 1) Import Theme for code blocks ... ... GitHub Dark Dimmed (출처 : highlight.js) 2) Import Font for code blocks ... ... Nanum Gothic (출처 : Google Fonts) 3. CSS Modify Log 1) 스타일 수정 ... .article .contents_style pre code { word-break: break-all; overflow-y: auto; padding: var(--space-md); box-sizing: border-box; /* rizingblare */ width: var(--my-width, 8..
0. Intro 리팩토링에 절여져 버린 나..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581 1. 리팩토링 이후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M = scanner.nextInt(); int N = scanner.nextInt(); PrimeResult result = PrimeUtils.calculatePrimeSumAndMin(M,N); if (!result.hasPrimes()) { System.out.println(-1); } else { System.out.p..